환율은 기본적으로 외화에 대한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는 통화량이 증가하더라도 외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지 않으면 해당 국가통화가치가 하락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경제학 교과서에서는 중앙은행의 양적완화정책이 통화약세 요인이라고 기술하고 있지만, 소비자 물가 상승이나 환율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통화는 본원통화가 아니고 은행대출금을 포함한 협의통화다.
따라서 본원통화량이 증가하더라도 2007년 이후 일본처럼 은행대출금을 포함하는 협의통화량이 증가율이 낮거나 중앙은행이 공급한 본원통화가 다시 중앙은행으로 흡수된다면 소비자물가 상승 및 환율상승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실질 GDP가 증가하더라도 결제에 필요한 통화가 증가하므로 소비자물가 안정요인이고 풀린 돈이 금융자산을 매매하는 수단으로 많이 이용되더라도 통화가치 하락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 미국은 금융시장이 발달한 국가로서 금융시장이 소비자물가 상승요인을 흡수하고 미국 달러가치 하락요인도 흡수하는 나라다.
한국은행 통계에 의하면 미국과 일본의 경우, 2007년 이후 본원통화량은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협의통화 증가율도 낮고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10년 동안 미국은 연 평균 2%도 상승하지 않았고, 일본은 연평균 0.5%도 상승하지 않았음. 미국달러와 엔화 가치 역시 본원통화량 급증에도 불구하고 10년 동안 안정되었음.
2007년 대비 2018년 본원통화, 협의통화, GDP, 소비자 물가지수 및 환율 비교
(2007년, A)
|
본원 통화 |
협의 통화 |
GDP규모 |
소비자물가지수 |
YEN/USD 환율 |
미국 |
8,370억$ |
1.4조$ |
14.4조$ |
207.2 |
- |
일본 |
96조엔 |
499조엔 |
4.5조$ |
97.2 |
188엔 |
(2018년, B)
|
본원 통화 |
협의 통화 |
GDP규모 |
소비자물가지수 |
YEN/USD 환율 |
미국 |
3.4조$ |
3.8조$ |
20.6조$ |
251.1 |
- |
일본 |
504조엔 |
787조엔 |
4.9조$ |
101.3 |
110엔 |
증가율(B/A)
|
본원 통화 |
협의 통화 |
GDP규모 |
소비자물가지수 |
YEN/USD 환율 |
미국 |
306% |
171% |
43% |
21.2% |
- |
일본 |
425% |
58% |
8.9% |
4.2% |
엔화 7% 상승 |
자료 : 한국은행. 연말기준, 연평균환율
경제학자들과 언론 등에서는 2012년 일본의 양적완화 정책이 엔화 약세원인이라고 주장하지만, 상기와 같은 이유로 설득력이 거의 없다. 2012년 이후 2015년까지 엔화 약세 현상은 양적완화정책에서 찾기보다 일본 시중은행과 기관투자자와 개미투자자들이 당시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한 유럽과 미국의 주식 및 부동산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과정에 달러에 대한 수요 증가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이유는 일본 중앙은행이 양적완화정책을 선택하지 않았더라도 한국보다 신용창출 배수가 훨씬 낮은 일본의 경우, 경제활동참여자들이 대출을 받거나, 회사채 발생을 통해서 자금조달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유럽과 미국 주식은 물론 부동산에 투자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